반응형
managedChennal 생성과정은
newStub 호출 후,
idle - connecting - ready 상태 과정을 거친다.
connecting 과정 중에.
/etc/nsswitch.conf 의 hosts: files dns 로 작성 순서로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된다.
1. files(/etc/hosts) 확인
2. dns : 네임서버 확인.
프로젝트 과정 중에 managedChannel 생성 과정에 지연이 발생되어, 확인 결과.
/etc/hosts 에 ip, domain 으로 도메인 주소를 통해 grpc 연결 시도 시,
1. /etc/nsswitch.conf 파일의 우선 순위에 따라
2. /etc/hosts 파일을 확인
3. dns 네임서버 확인
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된다.
별도 dns서버가 없으면, jndi는 시스템dns서버(/etc/resolv.conf) 확인하게 되는데, 여기에 작성된 nameserver 를 확인하게 된다.
해당 nameserver 에 연결 시도하고 연결이 안되거나, 타임아웃이 되면서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.
JVM 옵션 중, dns 검색 옵션을 끄는 설정이 존재한다.
`-Dio.grpc.internal.DnsNameResolverProvider.enable_jndi=false`
- 폐쇄망에서 해당 옵션을 사용하여, 채널 연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.
반응형
'IT > WS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buntu] 노트북 모니터를 덮어도 전원 유지 (2) | 2025.03.15 |
---|---|
[mongo] 샤딩 클러스터 실습(feat. docker-compose) (0) | 2025.01.14 |
[redis] 클러스터 실습(feat. docker compose) (0) | 2025.01.12 |
도커 컨테이너 volume 권한에 대해서 (0) | 2024.12.03 |
오프라인 WSL / 우분투 / 도커 / 도커 컴포즈 설치기 (0) | 2024.11.22 |
[ubuntu] grep 명령어 정리 (0) | 2024.05.24 |
[docker] kafka 명령어 (0) | 2024.05.23 |
docker compose - jenkins, github 연동 (0) | 2024.03.31 |
docker compose - nginx 설치 및 설정 (0) | 2024.03.30 |
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및 트러블 슈팅 (0) | 2024.03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