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도커 3

[redis] 클러스터 실습(feat. docker compose)

- 레디스 클러스터는 슬롯 기반의 분산 저장 방식이다.- 데이터를 저장(set)한 마스터 노드 외에 다른 마스터 노드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조회할 수 없다.- 레디스 클러스터는 총 16,384개의 슬롯을 데이터 저장 공간을 나눈다.- 마스터 노드가 장애가 발생하면, 마스터의 슬레이브 노드 중 하나를 새로운 마스터 노드로 승격한다.- 승격된 마스터노드는 장애 발생 이전의 데이터를 유지하며, 클러스터가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.- 서버 1,2,3 일 경우서버 1 - 마스터 1, 슬레이브 2서버 2 - 마스터 2, 슬레이브 3서버 3 - 마스터 3, 슬레이브 1로 구성하여, 해당 마스터 노드의 서버가 장애 발생 시, 다른 서버의 슬레이브 노드를 설정하여 장애에 대비한다. 1. docker-compose-re..

IT/WSL 2025.01.12

윈도우용 도커(Docker)를 설치하자.

이번 프로젝트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발디비가 접속이 안된다. ㅎ 개발서버 아이피가 유동 아이피? 로컬에 디비를 설치하고, 진행해야 되는 상황에서 mysql, mongodb, redis 등 로컬피씨에 일일이 다 설치해서 쓰기에는 구분점이 너무 없어서,, 아는 형과의 대화에서 도커라는 힌트를 얻었다. 도커는 배포 이미지를 만든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고, 실제로 사용해 본 적은 없어서 한번 설치해서 사용해보았다. 아직 깊이 알지는 못하지만.. 정말 편한 도구라는 걸 깨달았다. Docker: Accelerated Container Application Development Docker: Accelerated Container Application Development Docker is a platform desi..

IT/WSL 2024.02.14
반응형